본문 바로가기
  • beatituto 하게 재태크와 건강을 지키자

주식 기초 지표3

PER·PBR·EV/EBITDA 완전 정리 기업 분석의 기초는 재무제표를 보는 것이지만, 투자자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이 기업이 현재 주가 기준으로 비싼가, 싼가”를 판단해야 합니다.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대표적인 기업가치 평가 지표가 PER, PBR, EV/EBITDA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지표의 개념, 계산법, 장단점, 투자에서의 활용 방법을 알기 쉽게 정리합니다.목차PER (주가수익비율)PBR (주가순자산비율)EV/EBITDA세 지표 비교 및 활용법산업별 차이투자자가 기억해야 할 체크 포인트결론1. PER (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PER은 주가 ÷ 주당순이익(EPS)으로 계산합니다. 주가가 이익의 몇 배에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PER 해석PER 10배 → 현재 이익 기준으로 10년이면 .. 2025. 9. 11.
손익계산서 쉽게 이해하기 주식 투자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손익계산서에서 나오는 핵심 수치로, 기업이 얼마나 돈을 벌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손익계산서의 기본 구조와 세 가지 개념의 차이, 해석 방법, 투자 활용법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목차손익계산서란?매출(매출액)영업이익순이익매출·영업이익·순이익 비교손익계산서 해석 포인트투자 활용법결론1. 손익계산서란?손익계산서는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수익과 사용한 비용을 보여주는 보고서입니다. 쉽게 말해 “이 회사가 이번 분기/올해 얼마를 벌었나?”를 정리한 성적표입니다.주요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매출(Revenue)- 매출원가(COGS)= 매출총이익(Gross Profit)- 판매관리비(SG&A)=.. 2025. 9. 9.
EPS·BPS·DPS 기본 개념 주식 투자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EPS, BPS, DPS입니다. 이 세 가지 지표는 기업의 수익성, 자산가치, 주주 환원 정책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며, PER, PBR, 배당수익률 등 다른 평가 지표의 기초가 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EPS·BPS·DPS 각각의 개념과 계산법, 생활 속 예시, 투자 활용법, 그리고 확장 지표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목차EPS (주당순이익)BPS (주당순자산)DPS (주당배당금)EPS·BPS·DPS 비교투자 활용법확장 지표: EPS 성장률·배당성향결론1. EPS (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EPS는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수로 계산합니다. 즉, 주식 1주당 얼마의 이익을 벌어들였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예: 한 기업이 1년.. 2025.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