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beatituto 하게 재태크와 건강을 지키자

전체 글41

3대 재무제표 종합 분석법 기업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보고서 세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재무상태표. 많은 초보 투자자들이 각각 따로만 보거나, 특정 지표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 세 가지는 서로 맞물려 돌아가며, 함께 읽어야 기업의 진짜 체력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3대 재무제표의 구조와 연결 관계, 실제 사례, 투자 활용법까지 깊이 있게 정리합니다.목차3대 재무제표 개요재무제표 간 연결 관계사례로 보는 연결 해석산업별 차이와 특징투자자가 꼭 확인해야 할 체크 포인트투자 활용법결론1. 3대 재무제표 개요재무제표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① 손익계산서일정 기간 동안 기업이 얼마나 벌고 썼는지를 보여줍니다. 핵심 지표: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② 현금흐름표회계상 이익이 아니라 실.. 2025. 9. 10.
재무상태표 쉽게 이해하기 (자산·부채·자본 구조) 주식 투자에서 기업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반드시 살펴봐야 하는 보고서가 있습니다. 바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가 “얼마나 벌었나”, 현금흐름표가 “돈이 어떻게 오갔나”를 보여준다면, 재무상태표는 특정 시점에서 “이 회사가 무엇을 가지고 있고, 얼마나 빚졌으며, 주주의 몫은 얼마인가”를 알려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무상태표의 기본 구조, 자산·부채·자본 각각의 의미, 실제 해석 방법과 투자 활용법까지 알기 쉽게 정리합니다.목차재무상태표란?자산(Assets)부채(Liabilities)자본(Equity)자산 = 부채 + 자본 공식재무상태표 해석 포인트투자 활용법결론1. 재무상태표란?재무상태표(Balance Sheet)는 일정 시점에서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을 보여주는 보고서입니다. 손익계산서가 “이번 분기/.. 2025. 9. 10.
손익계산서 쉽게 이해하기 주식 투자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손익계산서에서 나오는 핵심 수치로, 기업이 얼마나 돈을 벌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손익계산서의 기본 구조와 세 가지 개념의 차이, 해석 방법, 투자 활용법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목차손익계산서란?매출(매출액)영업이익순이익매출·영업이익·순이익 비교손익계산서 해석 포인트투자 활용법결론1. 손익계산서란?손익계산서는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수익과 사용한 비용을 보여주는 보고서입니다. 쉽게 말해 “이 회사가 이번 분기/올해 얼마를 벌었나?”를 정리한 성적표입니다.주요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매출(Revenue)- 매출원가(COGS)= 매출총이익(Gross Profit)- 판매관리비(SG&A)=.. 2025. 9. 9.
현금흐름표 읽는 법 (영업·투자·재무활동) 주식 투자에서 재무제표는 기업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입니다. 그중 현금흐름표는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가 보여주지 못하는 “실제 현금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입니다. 기업이 이익은 많이 내더라도 현금이 부족하면 부도가 날 수 있기 때문에, 현금흐름표는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금흐름표의 구조와 세 가지 활동(영업·투자·재무활동)으로 나눠 읽는 방법, 그리고 투자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정리합니다.목차현금흐름표의 구조영업활동 현금흐름투자활동 현금흐름재무활동 현금흐름세 가지 흐름의 조합 해석투자 활용법결론1. 현금흐름표의 구조현금흐름표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됩니다.영업활동 현금흐름 (Operating Cash Flow) – 회사 본업에서 들어오고 나간 돈투자활동 현금흐름 .. 2025. 9. 9.
재무 안정성 지표 설명 기업을 분석할 때 “얼마나 돈을 잘 버는가?”만큼 중요한 게 바로 “얼마나 안정적인가?”입니다. 아무리 EPS나 ROE가 좋아도, 부채가 지나치게 많거나 이자 부담을 감당하지 못하면 기업은 쉽게 무너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무 안정성을 대표하는 지표인 배당성향, 이자보상배율, 부채비율을 살펴보고, 각각의 의미와 계산법, 투자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기 쉽게 설명하겠습니다.목차배당성향 (Dividend Payout Ratio)이자보상배율 (Interest Coverage Ratio)부채비율 (Debt to Equity Ratio)세 지표의 상호 관계투자 활용법결론1. 배당성향 (Dividend Payout Ratio)배당성향은 DPS ÷ EPS × 100%로 계산합니다. 즉,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 .. 2025. 9. 8.
EPS·BPS·DPS 기본 개념 주식 투자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EPS, BPS, DPS입니다. 이 세 가지 지표는 기업의 수익성, 자산가치, 주주 환원 정책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며, PER, PBR, 배당수익률 등 다른 평가 지표의 기초가 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EPS·BPS·DPS 각각의 개념과 계산법, 생활 속 예시, 투자 활용법, 그리고 확장 지표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목차EPS (주당순이익)BPS (주당순자산)DPS (주당배당금)EPS·BPS·DPS 비교투자 활용법확장 지표: EPS 성장률·배당성향결론1. EPS (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EPS는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수로 계산합니다. 즉, 주식 1주당 얼마의 이익을 벌어들였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예: 한 기업이 1년.. 2025. 9. 8.